top of page

KANG RESEARCH GROUP - THE STARLAB®
DEPARTMENT OF ENGINEERING CHEMISTRY
COLLEGE OF ENGINEERING
CHUNGBUK NATIONAL UNIVERSITY, KOREA


STARLAB NEWS
NEWS & ANNOUNCEMENTS

국제저명학술지 CEJ 게재
2025. 04. 15.

지도교수 강동우 부교수 승진
2025. 03. 01.

2025 학위수여식 (1기)
2025. 02. 20.

권석호 연구원 CBSTAR Jr. 선정
2025. 01. 15.

Gas FT-IR & TGA 분석기기도입
2025. 01. 15.

국제저명학술지 CEJ 게재
2025. 01. 01.

2024 미국화학공학회 참석
2024. 10. 31.

국제저명학술지 CEJ 게재
2024. 09. 15.

도쿄 및 츠쿠바 자원순환학회 참석
2024. 09. 09.

기초연구실 연구과제선정 (13.75억)
2024. 08. 01.

연구실 임원MT @ GUAM
2024. 06. 10.

2024 제주 화학공학회 참석
2024. 04. 27.

우수논문상 국제수상
2024. 03. 17.

호주 3RINCs 학회참석
2024. 03. 10.

RIS 핵심기술연구과제 선정
2024. 02. 29.

2024 학위수여식 (인턴)
2024. 02. 23.

2023 졸업논문발표회
2023. 11. 22.

2023 미국화학공학회 참석
2023. 11. 08. - 13.

2023 일본 자원순환학회 참석
2023. 09. 13.

연구법인 테크밸리 선정
2023. 09. 01.
충북대학교 STARLAB 실험실 창업기업인 (주)스타코어이노베이션이 기술보증기금의 테크밸리 기업으로 선정되었습니다.
충북대학교 STARLAB 실험실 창업기업인 (주)스타코어이노베이션이 기술보증기금의 테크밸리 기업으로 선정되었습니다.

연구실 워크샵 @ 싱가포르
2023. 08. 08. - 13.
STARLAB 구성원들의 친목도모 및 선진지역 투어를 통한 연구의지 강화를 위해 23년 8월 8일부터 13일까지 싱가포르 전역으로 워크샵을 진행하였습니다.
STARLAB 구성원들의 친목도모 및 선진지역 투어를 통한 연구의지 강화를 위해 23년 8월 8일부터 13일까지 싱가포르 전역으로 워크샵을 진행하였습니다.

연구성과 언론보도
2023. 06. 15.
(청주=국제뉴스) 이재기 기자 = 충북대학교(총장 고창섭) 공업화학과 강동우 교수 연구팀이 탄소중립에 관한 연구를 다수 진행해 2023년 5월, 3편의 상위 국제저명학술지 논문을 게재했다.
강동우 교수 연구팀은 탄소중립사회로의 이행을 위한 고효율 이산화탄소 흡수제 개발 및 탄소자원화 연구를 진행했다고 밝혔다.
먼저 박민석, 권석호(석사 1년)씨는 폴리아민을 활용한 공융용매 기반 이산화탄소 흡수제 연구를 수행했다. 이들은 흡수제의 화학적 흡수거동을 반응공학 및 열역학적으로 분석해 영향력지수 16.744, 상위 2%대의 Chemical Engineering Journal에 주저자로 논문을 게재했다.
조재한(석사 1년)씨와 박지현(4학년) 학생은 아미노산염을 활용한 공융용매 기반 이산화탄소 흡수제 연구를 수행해 아미노산 분자의 분자간 결합력 증대를 통한 수소결합 네트워크 기반의 이산화탄소 흡수제를 개발했으며, 기존 상용흡수제 대비 8배 이상의 이산화탄소 흡수효율을 보여 Q1급 국제저명학술지인 Journal of Environmental Chemical Engineering에 주저자로 논문을 게재했다.
또한, 강동우 교수는 미국 프린스턴 대학 방문연구원으로 연구를 수행 중인 유윤성 박사와의 연구협업을 통해 해수 내 금속양이온을 활용한 저에너지 소비형 광물탄산화 기술개발 및 성상제어를 통한 고부가화 연구를 수행하여 Q1급 국제저명학술지인 Process Safety and Environmental Protection에 교신저자로 논문을 게재했다.
강동우 공업화학과 교수는 “충북대 공업화학과에 부임한 이후 연구실에 들어온 첫 학생들이 학부과정 도중 그리고 대학원에 입학하자마자 우수한 연구성과를 낼 수 있게 된 것이 자랑스럽고, 앞으로도 우수한 연구자로 성장할 수 있도록 지원을 아끼지 않을 예정”이라고 밝혔다.
(청주=국제뉴스) 이재기 기자 = 충북대학교(총장 고창섭) 공업화학과 강동우 교수 연구팀이 탄소중립에 관한 연구를 다수 진행해 2023년 5월, 3편의 상위 국제저명학술지 논문을 게재했다.
강동우 교수 연구팀은 탄소중립사회로의 이행을 위한 고효율 이산화탄소 흡수제 개발 및 탄소자원화 연구를 진행했다고 밝혔다.
먼저 박민석, 권석호(석사 1년)씨는 폴리아민을 활용한 공융용매 기반 이산화탄소 흡수제 연구를 수행했다. 이들은 흡수제의 화학적 흡수거동을 반응공학 및 열역학적으로 분석해 영향력지수 16.744, 상위 2%대의 Chemical Engineering Journal에 주저자로 논문을 게재했다.
조재한(석사 1년)씨와 박지현(4학년) 학생은 아미노산염을 활용한 공융용매 기반 이산화탄소 흡수제 연구를 수행해 아미노산 분자의 분자간 결합력 증대를 통한 수소결합 네트워크 기반의 이산화탄소 흡수제를 개발했으며, 기존 상용흡수제 대비 8배 이상의 이산화탄소 흡수효율을 보여 Q1급 국제저명학술지인 Journal of Environmental Chemical Engineering에 주저자로 논문을 게재했다.
또한, 강동우 교수는 미국 프린스턴 대학 방문연구원으로 연구를 수행 중인 유윤성 박사와의 연구협업을 통해 해수 내 금속양이온을 활용한 저에너지 소비형 광물탄산화 기술개발 및 성상제어를 통한 고부가화 연구를 수행하여 Q1급 국제저명학술지인 Process Safety and Environmental Protection에 교신저자로 논문을 게재했다.
강동우 공업화학과 교수는 “충북대 공업화학과에 부임한 이후 연구실에 들어온 첫 학생들이 학부과정 도중 그리고 대학원에 입학하자마자 우수한 연구성과를 낼 수 있게 된 것이 자랑스럽고, 앞으로도 우수한 연구자로 성장할 수 있도록 지원을 아끼지 않을 예정”이라고 밝혔다.

국제저명학술지 CEJ 게재
2023. 05. 10.
본 연구팀(지도교수: 강동우)은 상위2% 최상위 SCI급 국제저명학술지에 논문을 게재하였습니다. 제 1저자인 박민석, 권석호 연구원은 Quaternized polyamine을 활용하여 수소결합 기반 공융용매를 합성하고, 이를 이용한 이산화탄소의 화학적 포집 연구를 진행하여, Chemical Engineering Journal에 게재되었습니다.
본 연구팀(지도교수: 강동우)은 상위2% 최상위 SCI급 국제저명학술지에 논문을 게재하였습니다. 제 1저자인 박민석, 권석호 연구원은 Quaternized polyamine을 활용하여 수소결합 기반 공융용매를 합성하고, 이를 이용한 이산화탄소의 화학적 포집 연구를 진행하여, Chemical Engineering Journal에 게재되었습니다.

Q1 국제학술지 논문게재
2023. 05. 09.
본 연구팀(지도교수: 강동우)은 Q1 SCI급 국제저명학술지에 논문을 게재하였습니다. 제 1저자인 조재한, 박지현 연구원은 수소결합 기반의 공융용매를 활용한 이산화탄소의 화학적 포집 연구를 진행하였고, Journal of Environmental Chemical Engieering에 게재되었습니다.
본 연구팀(지도교수: 강동우)은 Q1 SCI급 국제저명학술지에 논문을 게재하였습니다. 제 1저자인 조재한, 박지현 연구원은 수소결합 기반의 공융용매를 활용한 이산화탄소의 화학적 포집 연구를 진행하였고, Journal of Environmental Chemical Engieering에 게재되었습니다.

Q1 국제학술지 논문게재
2023. 05. 08.
본 연구팀(지도교수: 강동우)은 Q1 SCI급 국제저명학술지에 논문을 게재하였습니다. Princeton University 유윤성 박사와의 공동연구를 통해 이산화탄소의 화학적 전환 및 무기자원화 과정에서의 성상제어 연구를 수행하였고, Process Safety and Environmental Protection에 게재되었습니다.
본 연구팀(지도교수: 강동우)은 Q1 SCI급 국제저명학술지에 논문을 게재하였습니다. Princeton University 유윤성 박사와의 공동연구를 통해 이산화탄소의 화학적 전환 및 무기자원화 과정에서의 성상제어 연구를 수행하였고, Process Safety and Environmental Protection에 게재되었습니다.
bottom of page